여론조사 유감  
정치인 홍보성 여론조사는 역효과
수도권타임즈(www.sntimes.kr)   
수도권타임즈 | 2022.02.05 14:08 |

올해처럼 크고 작은 선거가 있는 해에는 여론조사가 활발하게 진행된다.

불특정 다수의 의견을 취합, 분석해서 의사결정에 참고한다는 측면에서 여론조사는 바람직한 측면이 많다.

 

기업은 시장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기본적으로는 자사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타사 제품과의 경쟁력 분석이 대부분이고, 이미지 관리를 위한 목적도 있다.

 

정부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여론조사는 정책이나 제도를 수립하기 위해 의견을 수렴하는 경우도 있고, 시행중인 정책이나 제도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내용도 있다.

 

정당이나 선거출마 희망자가 실시하는 여론조사도 있다.

공약에 대한 선호도를 묻기도 하지만, 출마예정자에 대한 인지도와 지지도를 파악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조사원이 대면해서 진행하기도 하고, 전화를 통해 문답을 하는 경우도 있다. 사전에 녹음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묻고 1~4번 중에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사전에 녹음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묻는 방식이 거의 대부분인 것 같다. 비용과 편리성 등을 감안한 결과일 것이다.

 

기본적으로 여론조사는 시행주체의 홍보를 목적으로 한다.

회사를 알리고, 제품을 홍보하고, 정책과 공약을 PR하고, 출마예정자를 소개하는 효율적인 수단이 되는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호기심에 응하기도 한다.

신제품에 대한 정보나 소비 트렌드를 참고할 수 있고, 출마자를 가늠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렇듯 여론조사는 대놓고 하는 홍보수단 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여기에 호기심이 맞아 떨어지다 보니, 그러려니 하고 전화를 받기는 한다. 하는 쪽의 목적과 받는 쪽의 호기심이 만나는 지점이 응답률 이라는 수치로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일부 여론조사는 씁쓸한 뒷맛을 유발하기도 한다. 꼴불견 여론조사는 역효과를 유발한다. 돈 써서 여론조사 했는데 역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얘기가 된다.

 

전화해 놓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는 경우가 단연 우선이다.

질문을 해 놓고 거주지나 연령대, 성별을 묻다가 귀하는 대상이 아니라며 전화를 끊는다. 다른 볼일을 보다가 여론조사인줄 알면서도 전화를 받아주었는데이런 경우를 당하게 되면 황당하게 마련이다. 성격에 따라서는 욕을 하기도 할 것이다.

 

상담원과의 전화 통화로 진행하는 방식도 씁쓸한 경우가 많다.

1~3번 중에서 답이 없으면 4번은 기타로 답을 정한다. 이때 기타에 대해 설명을 하려하면, 십중팔구는 상담원의 태도가 달라진다. 빨리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라는 투이다. 두 번 정도 기타항목을 선택하고 설명을 하면 노골적으로 짜증을 내고 상담원이 이해한대로 답변을 넘겨 짚는다. 이쯤 되면 괜히 전화를 받았다는 후회가 밀려든다.

 

시간 내에 할당받은 설문을 마쳐야 수당을 받는데, 상대방이 말을 많이 하면 영업방해 하는 것이라며 솔직하게 하소연 하는 상담원도 있기는 하다.

 

대놓고 홍보를 하는 사례도 있다.

기업이나 정부에서 하는 홍보성 여론조사는 애교스러운 면이 있다.

정부에서 공적 영역의 정책홍보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가상하다. 기업의 경우 사적 영역이기는 하지만, 물건 팔아먹기 위해 이렇게까지 노력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정치인의 여론조사는 경우가 다르다.

특정인에 대한 인지도를 묻고, 특정인이 출마하면 지지하겠는가를 묻는 행위가 과연 여론조사라 할 수 있을까? ‘여론조사를 빙자한 홍보라는데 생각이 미치는 것은 나만 그럴까? 적어도 파악된 후보모두를 언급하고, 인지도와 지지도를 묻는 것이 공정한 것 아닌가?

 

한편으로는 대놓고 홍보를 하기에는 공직선거법을 비롯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여론조사를 빙자한 홍보로 흐른다는 현실을 이해는 한다. 그러나 여론조사를 빙자한 홍보가 상대에게 불쾌감을 준다면 않느니만 못한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예년 같으면 지방선거 준비가 한창일 시기이지만, 한 달여 남은 대선 때문에 지방선거는 묻혀 있는 형국이다. 39일 대선 후 61일 지방선거일까지는 3달이 채 남지 않는다.

 

경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좋은 후보를 고르기 위해 각양각색의 여론조사가 이어질 것이다. 누군가는 여론조사 비용을 부담할텐데, 돈 쓰고 마이너스 효과 거두는 는 없기를 바란다.

 

- 임건묵 -

Copyrights © 2006 www.sntimes.kr All Rights Reserved
공감 비공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