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제도적 영역과 개인의 행복  
수도권타임즈(www.sntimes.kr)   
수도권타임즈 | 2013.12.19 08:44 |

과거 우리는 가사업무에 대한 충실과 직장에서의 고소득, 높은 지위 등 전통적, 공식적의미의 가치 추구를 통해 삶의 행복을 높이는데 주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수많은 조사기관들은 일관되게 한국인들이 그동안 삶의 질이 낮고, 불행한 삶을 살아왔다는 결과를 발표해 오고 있다. OECD의 2013 BLI(보다 나은 삶 지수)에 의하면우리의 행복지수는 OECD 36개국 가운데 27위로 하위권이다.

 

그나마 이런 지수가최하위권이 아님은 사람들이 다양한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본 연구의 의식조사에 의하면, 대다수(73.2%) 사람들이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이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실제 다양한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을 통해서 삶의 질 만족도를제고시키고 있다. 통계청 자료 또한 각종 단체참여 비율이 46.6%이며 이 중에서 계,동창회 등의 친목 및 사교단체에 대한 참여하는 비율은 73.1%임을 보여준다.

 

» 작성 유영성 / 미래비전연구실 연구위원   ⓒ수도권타임즈

이는정작 자신의 삶의 질이 하락하고 행복감은 낮은 우리사회 실정에 대한 자구적 차원의대응의 증거라 할 수 있다. 실제 사람들은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에 큰 비용을 들이고있기도 하다. 실질적으로 월 48만원 정도(1인당 월 가처분국민소득의 약 39%)를 쓰고있다.

 

문제는 사람들이 행복 추락 방지를 위해서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의 확대가절실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어 그냥 현 상태를유지하거나(59.4%) 아예 줄이려한다(27.6%)는 것이다. 이는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개입이없이는 그동안 불행했던 삶이 그대로 지속되거나 악화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의 ‘여가 관련 산업’은 규모가 총 216조원 수준(GDP의약 18% 수준)이며,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 관련 스마트콘텐츠 산업의 경우 엄청난 성장률(22.0%)이 전망된다. 따라서 국가경제 활성을 위한 산업적 측면에서도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을 가정, 직장, 사회 내 병리현상 치유모델로 활용하는 등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더 나아가 활동영역 확대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법⋅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요망된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 여가활동캠페인 ‘1인 2기’운동 및 e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정책 등은 현 불행한 상태의 지속을 막기엔 한계가있다. 한편,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 영역이 가상세계로까지 확장되는 추세를 활용하여실감형 디지털체험 가상세계 개발을 통한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의 장을 넓혀주는 것또한 중요하다. ‘(가칭)국민행복발전소’(경기도의 경우, 도민행복발전소) 정책 개념을정부의 시책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국가 차원의 본격적인 ‘비제도적 행복추구활동’의진흥 및 지원 전담기구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유영성 미래비전연구실 연구위원(ysyoo@gri.kr)


 

Copyrights © 2006 www.sntimes.kr All Rights Reserved
공감 비공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