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체육계 '통·폐합이 바람직하다' 제안  
엘리트·시민체육 유기적관계 등 효율성 기대 돼
수도권타임즈(www.sntimes.kr)   
수도권타임즈 | 2012.12.05 07:58 |

성남시 체육진흥의 효율성을 위해 체육회(엘리트체육)와 생활체육회(국민생활체육)를 통·폐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체육회와 생활체육을 통·폐합함으로써 엘리트체육 육성 및 시민건강 증진에 보다 합리적인 체육정책을 펼 수 있다는 기대다. 또한 엘리트체육과 시민체육이 유기적 관계가 형성되면서 체육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정 건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체육계의 통·폐합은 성남시 체육의 경쟁력 강화와 선수층 및 보편체육을 두텁게 하는 기반이 된다는 것.


이 뿐만이 아니다. 산재한 체육시설의 운영의 묘를 살릴 수 있다. 난립한 체육시설 관리 및 운영을 통·폐합으로 조정과 협의를 거쳐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수도권타임즈

춘천시는 '춘천시체육진흥재단'이란 이름으로 이미 선진체육을 꾀하고 있다.

 
2009년 1월 설립, 2010년 3월 통합발족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춘천체육진흥재단은 시장이 이사장이 아니다. 민간인이 단체장을 맡음으로써 정치적 입김을 배재하자는 의도가 깔려 있다. 춘천체육회는 경영혁신과 변화를 통해 시민과 함께 선진체육을 이끌어가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스포츠 복지 향상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다.


춘천체육진흥재단은 전 체육시설물을 수용 관리하고 있다. 이 시설물들을 사용하는 데는 사전 온라인 예약제가 필수다. 그만큼 투명성이 담보되어 있다. 이사장은 체육회장과 겸직이다. 전문성 보장이다.


진흥재단은 이사장 밑에 감사와 이사회, 상임이사가 구성되어 있다. 경영지원실 등 1실 2국 8팀.


춘천체육진흥재단의 역할과 주요시책을 보면 공공체육시설 운영과 관리를 시민중심으로의 전환이다. 다음은 시설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다음은 체계적인 역할과 능률적인 경영을 위한 재단조직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생활체육 및 엘리트 체육을 체계적으로 연계해 선진 체육진흥정책을 펼친다.


이에 반해 성남시 체육정책은 재정의 효율성과 시설 운영, 엘리트체육 육성에 상당한 혼선 및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성남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강상태 의원은 이를 지적한다.


강 의원은 "성남시의 체육계의 이분화 시스템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통·폐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고 있지 않다"며 집행부의 의지를 질타한다.


강 의원은 통·폐합이 순조롭게 이어지기 위해 몇 가지 사전 정지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첫째, 현재 체육시설 운영관련 조례를 손봐야 한다. 문제에 대한 검토나 논의만으론 통·폐합은 진행하기 어렵다. 체육시설 운영실태를 보면 규모가 제법 큰 것은 시설관리공단에 위탁운영하고 있다. 시설관리 유지에는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공단이 해야 하겠지만 시설을 이용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체육계가 맡아야 한다. 종목별  전문 체육인들이 시설을 운영해야만 효율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 공단이 시설관리 및 운영권을 갖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 체육시설은 수익창출이 우선이 아닌 체육의 발전, 시민건강증진이 먼저다.


둘째, 통합절차나 구조조정, 여러 성남시 체육계의 문제는 전국적인 이슈로 국가의 제도적 시스템이 정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올림픽위원회, 생활체육회, 국민생활체육 이런 분류 시스템이 상존하는 한 기초단위에선 혼선이 따를 수밖에 없다. 하향식 시스템구조는 기초단위(시군)에서 별 의미가 없다. 생활체육, 직장운동부, 학교체육 등은 분야만 다를 뿐이지 유기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셋째, 장애인체육회가 태동했다. 장애인체육회는 중앙에서 결성돼 지방에 하달되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우리도 장애인체육회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그렇게 되면 체육계가 방대해지기 마련이다. 옥상옥이 된다는 말이다. 장애인체육 영역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하나로 묶어 한 조직에서 활성화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성남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 정용한 위원장은 체육계를 통·폐합한다는 데 누구보다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 위원장은 지난 2007년 전 시장 때에도 체육계를 통·폐합하는 체육진흥재단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정 위원장은 "이미 성남시체육회 규정집에 보면 하나의 기구에서 학교체육위원회, 사회체육위원회, 생활체육위원회로 나눠져 있다"고 말한다. 분류될 근거가 없다는 말이다.


정 위원장은 나아가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규정집에 나와 있는 것처럼 생활체육회를 체육회로 흡수시켜 생활체육위원회를 둔다.


체육회는 시장이 이사장이 되고 사무국장이 총괄한다. 각 분야별 운영위원회를 두고 실권의 책임은 운영위원장이 맡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예산이 효율적이고 절감도 된다. 관리하기도 편하고, 민원을 해결 하는 데에도 빠르다. 통·폐합으로 인한 인원 축소 및 예산절감은 체육계 전무이사에게 10만원 통신료라도 지불하면서 가맹단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체육발전에 도움이 된다.


정 위원장은 시설관리공단에서 체육시설 관리 운영하는 것을 반대한다. 정 위원장은 체육시설은 체육시설위원회를 구성해 위원회가 맡아야 한다는 것. 체육시설위원회를 체육회에 두고 부시장이 위원장이 된다. 체육전문가로 구성된 이 위원회가 체육시설을 관리 운영하는 것이 낮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남시의회 정기영 의원은 2년 넘게 장애인체육회를 준비해온 입장에서 통·폐합을 반대한다. 장애인체육회가 오는 12월 말게 결성돼 체육회에 통합 운영되면 '장애인 체육발전은 커녕 끌려가는 꼴이 될 것이다'고 말한다.


정 의원은 별도의 장애인체육회가 만들어져 장애인체육 전문가로 구성된 사무국이 필요하다는 것. 나아가 "기존 체육시설은 비장애인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역 등을 통해 장애인이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변경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정 의원의 주장이다.


체육계의 통합 여론에도 불구하고 성남시의 입장은 완고하다. 시에서는 검토한 바 없다. 중앙회에서 통·폐합이 선행되지 않고는 합쳐지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에서는 체육회와 생활체육회 간에 한 사무실에 칸막이로 구분된 구획들에 대해서도 기구가 다르기 때문에 칸막이를 터서 하나로 합치는 것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체육회는 공공기구이며 생활체육회는 민간기구로 봐야 한다는 것.


시는 장애인 체육회를 연내에 결성해 체육회 산하에 둘 것이다고 한다. 엘리트체육에 준하기 때문이라는 것. 또한 장애인 체육회 회장이 시장이기 때문에 무리가 없다고 보는 입장이다.


체육 전문가에 따르면 난립한 체육계의 통·폐합은 "시대의 요청이다"며 "체육 재정의 효율화, 온 시민이 스포츠로 하나 되고 건강한 삶을 증진하기 위해 필연적이다"고 조언한다.


앞으로 통·폐합된 성남시체육진흥재단(가칭)이 만들어지면 이사장은 시장을 당연직으로 하는 것이 맞다. 산하에 이사회 및 연맹위원장회를 두고 부회장을 선출해 회를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재단의 직원 총괄 및 실무는 현행 사무국장 체제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무에는 경영마케팅실, 엘리트체육팀, 생활체육회팀, 장애인체육팀, 시설관리운영팀, 체육관리연구팀등 1실 4팀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제안한다. /곽효선 기자

Copyrights © 2006 www.sntimes.kr All Rights Reserved
공감 비공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