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한 욕창관리 효과 '커'  
분당서울대학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 '원격상담 솔루션 개발'
수도권타임즈(www.sntimes.kr)   
수도권타임즈 | 2012.03.14 18:36 |

뇌졸중으로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를 간병 중인 이 씨. 얼마 전 아버지의 등에 욕창이 생기는 바람에 큰 고민거리가 생겼다. 욕창은 매일 상처를 드레싱 하는 것이 중요한데, 어떤 재료를 어떻게 써야 할지 난감하기 때문이다. 병원에서는 2주에 한 번씩 방문하라고 했지만,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를 모시고 병원을 다니기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개발한 욕창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걱정을 한결 덜었다. 매일 아침 드레싱을 하면서 아버지의 욕창 상처를 사진으로 찍어 전송하면, 병원에서 상처의 크기와 상태를 체크해 적절한 소독과 드레싱에 사용할 제품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동안은 드레싱을 하면서도 잘 하고 있는 것인지 늘 불안했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부터는 그런 불안이 싹 사라졌다.


언제 어디서든 공간과 시간을 넘어 질병을 관리하는 ‘U-헬스케어’를 만성 욕창 관리에 활용하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허찬영 교수(가운데)가 상처 전문 간호사와 함께 환자가 전송한 욕창 사진을 보며 의견을 나누고 있다.   ⓒ수도권타임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는 KT와 공동으로 욕창을 관리하는 원격상담 솔루션인 스마트 폰 기반의 'Wound Manager'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후, 2010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서울시 및 경기도 요양기관과 대학병원에서 통원 치료 중인 욕창환자 31명(33case)을 대상으로 4주간의 시험서비스를 진행하여 솔루션의 유용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상처 전문의료진이 원격으로 욕창을 사정한 뒤 드레싱 제재를 권고하도록 하여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각 1회씩 총 4회 환자를 직접 방문하고 그 효과를 측정했다.


욕창 원격상담 솔루션은 환자나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현재 욕창 사진을 촬영해 입력하면 자동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처의 크기와 상태에 가장 적합한 드레싱 제재가 추천되고, 의료진이 이를 확인해 최종 권고하는 방식이다.


그 결과 욕창을 진단하는 13가지 항목(크기, 깊이, 괴사조직 타입, 삼출물 타입 등) 중 상처 크기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접 진료 수준에 가까운 80% 이상의 일치율을 보였고, 상처 사진을 분석해 자동으로 권고한 드레싱은 87.6%, 자동권고 후 의료진이 수동권고 한 드레싱은 96.1%의 일치율을 나타냈다. 또한 33case 중 31case(93.9%)의 증상이 회복되었고, 상처의 회복 정도를 나타내는 PSST(Pressure sore status tool) 점수의 변화도 평균 -2.76점으로 호전되었음을 확인했다.

  ⓒ수도권타임즈

욕창은 만성질환이라는 특성 때문에 4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상처가 현격히 좋아지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에서 PSST 점수 변화가 -2.76으로 나타난 것은 만족할만한 치료 성적이다. 상처 크기 측정의 일치율이 낮은 것은 기술적인 보완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며, 상처가 호전되지 않았던 2case의 경우 타 보유질환으로 인한 생체기능의 저하가 원인이었다.


욕창은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인한 압박으로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조직이 죽어 발생하는 궤양이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나 노인들에게 주로 생기는 욕창은 한 번 걸리면 잘 낫지 않고 반복되는 경우가 많고 방치할 경우 골수염, 패혈증으로 이어져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욕창은 상처의 세척이나 상처 상황에 맞는 드레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거동이 불편한 욕창 환자의 특성상 적절한 관리가 어려웠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의 말이다. “욕창은 주로 가정이나 요양기관에서 비전문적인 방식으로 환자를 관리하는데, 이 솔루션을 이용하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상처 전문의료진이 추천하는 드레싱 제재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거동이 불편한 욕창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전문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현재까지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대면한 진료만이 의료법상으로 인정받고 있어 원격진료를 활성화 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가정이나 요양기관에서 요양 중인 노인환자를 위한 공공의료 측면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욕창을 관리할 수 있어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가정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대학병원 홍보실

 

Copyrights © 2006 www.sntimes.kr All Rights Reserved
공감 비공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band